본문 바로가기

영화 <동주> 줄거리와 해외반응

옥채 2024. 2. 18.

 

1. 영화 <동주> 줄거리

영화 <동주>는 2016년 2월 17일에 개봉한 영화입니다. 이 흑백 영화는 시인 윤동주의 삶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동주>는 두 가지 시점을 엮어냅니다. 하나는 윤동주가 감옥에서 과거를 돌아보는 장면이고, 다른 하나는 그가 감옥에 갇히기 전의 삶을 그려냅니다. 한국 독립운동의 배경 속에서 이야기는 윤동주가 일본 정부에 의해 독립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투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감옥에서의 시절 : 윤동주의 투쟁

독립운동 참여로 투옥된 윤동주는 가혹한 심문과 시적 열정의 상실을 겪습니다. 그의 감옥 생활과 투옥 전의 일상을 대조시킵니다. 국가의 투쟁의 무게가 동주를 압도하더라고, 윤동주는 시에 대한 열정을 지키며 버티게 됩니다.

파괴할 수 없는 유대 : 윤동주와 송몽규

감옥 벽 안에서 윤동주는 동료 수감자인 송몽규와 뜻밖의 우정을 형성합니다. 그들의 공유된 고통과 무언의 친교는 큰 의미를 지닙니다. 해방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그들의 길은 갈라지게 되는데, 하나는 자백서의 서명하고 다른 하나는 타협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감옥 문 앞에서 헤어지는 감동적인 순간은 두 사람의 삶에 영원히 남게 됩니다.

 

2. 영화 <동주> 해외반응

1. 시 같은 영화, 시는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시가 말하는 것은 온전히 느끼고 싶다면 시에 공감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이해 없이 평론을 남긴 사람처럼, 시가 왜 쓰였는지, 그 시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알 수 없을 것입니다.

윤동주는 27세에 세상을 떠났고 평생 시집을 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는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시인 중 한 명이며, 한국말을 가장 아름다운 방식으로 사용하는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조선인에게 있어서 야만적인 시대를 살아왔기에 시대가 부끄러웠고, 일제강점기에 시를 쉽게 쓸 수 없었습니다. 윤동주의 서사를 잘 표현한 영화입니다.

2. 평소 액션영화나 공포영화를 좋아하는데 친구의 추천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예전부터 윤동주의 삶과 시에 대해 조금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영화를 통해서 윤동주의 삶과 시에 대하여 더욱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동주> 영화는 역사 때문에 한국인들에게 공감을 주는 영화이지만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똑같은 감정을 느낄 것이라 기대하지 않습니다. 확실히 한국인에게 훨씬 더 감정적인 영화입니다.

 

3. 영화 <동주> 국내반응

1. 학교를 다닐때는 시를 배우면서 왜 시대적 배경과 특징까지 알아야 하나, 투덜댄 게 부끄러워집니다. 영화에 나오는 시 암송에 울컥하고 영화가 끝날 때에는 박수칠 뻔했습니다. 그저 재미가 영화의 목표가 아니라 배움이 되는 영화구나를 느끼며 좋은 영화를 보고 왔습니다.

2. 좋은 시절에 태어난 내가 그 시절, 그 분의 삶에 관한 영화를 평가한다는 게 죄송한 마음입니다. 몇 년 전 어느 드라마의 기억 속 엔딩문구로 대신합니다. '먼저 떠난 분들이 만들어준 나라에서 마음껏 사랑하십시오.'

3. 시인 윤동주님과 독립운동가 송몽규 님의 삶과 애국심을 진지하면서 잔잔하게 느낄 수 있었던 영화였습니다. 영화를 보고 시를 다시 보니 더욱 깊게 와닿았습니다.

4. 고작 시험을 위해 윤동주의 시를 배웠습니다. 가슴이 아니라 머리로 익혔던 시를 이제야 오롯이 가슴으로 느끼게 되었습니다. 강하늘이 분한 동주가 읽어준 시는 집에 가는 길마다 듣고 싶어 졌고, 그가 연기한 동주의 눈빛은 흑백의 영상에서 가장 빛나는 먹먹함을 보여주었습니다.

 

4. 총평

영화 <동주>는 단순한 전기 영화를 넘어서, 윤동주의 삶과 열정을 다룬 영화. 그리고 윤동주와 송몽규가 함께 나눴던 아름답고 빛나는 청춘에 대한 경이로운 헌사입니다. 그들의 엮인 운명을 통해 우리는 격동의 시기에 자유를 위해 싸운 이들의 희생과 꿈, 그리고 불굴의 정신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어둠 속에서도 시와 인내가 번영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합니다. 영화 <동주>를 통해 우리는 윤동주의 가치와 정신을 재조명하며, 그의 불굴의 정신에 감사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댓글